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차전지 공장을 만들어보자
    테크 잡생각 2023. 7. 3. 22:55

    오늘의 기사

     

    中 증설 러시에…롯데케미칼·GS칼텍스도 '고부가'에 집중

    산업의 기초 소재를 공급하는 석유화학·정유기업들이 잇따라 사업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다. 중국 석유화학회사들의 저가 공세와 오랫동안 이어지고 있는 업황 침체가 계기가 됐다. 이들 기업

    n.news.naver.com

     

    흠냐.. 기존 석유화학 기업들이 국내 제조를 포기하는 단계까지 와버렸다.

     

    LG화학학이 NCC 2공장을 매각한다는데, 

    NCC?? 그게 뭐지

    NCC 공장이 주로 만드는 제품군이 뭐야?
    NCC는 "Naphtha Cracking Center"의 약자로 나프타 분해 공정을 의미합니다. 이 공정에서는 나프타를 가열하여 분해하고, 이를 통해 여러 가지 기본 화학 제품을 생성합니다.

    NCC에서 주로 생성되는 제품에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벤젠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모두 중요한 화학산업의 원료이며, 플라스틱, 고무, 합성섬유, 페인트, 페인트, 레진, 합성고무 등 다양한 화학제품과 소비재의 원료로 사용됩니다. 이렇게 생산된 화학제품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활용됩니다.

     

    음... 그렇군

    그래서 결국은 고부가 산업, 2차전지 산업의 기술 기반의 제조업으로 나아가고 싶다는 건데...

    그럼 2차 전지를 제조하는 공장에는 어떤 설비들이 들어갈까?

     

     

     

    만약에 2차전지를 만드는 공장을 세워야한다고 가정했을 때, 해당 공장에는 어떤 설비들이 들어갈까?
    2차전지를 제조하는 공장에는 전지의 주요 구성 요소를 제조하고 조립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설비들이 필요합니다. 여기에는 여러 단계의 제조 과정을 수행하는 기계와 장비, 그리고 전체 제조 과정을 제어하고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이 포함됩니다. 주요 설비는 다음과 같을 수 있습니다:

    1. 카소드 및 아노드 제조 설비: 카소드와 아노드는 전지의 양극과 음극입니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금속 코팅이 된 얇은 필름 형태로 제조됩니다. 이 과정에는 분말 혼합, 슬러리 제조, 코팅, 건조, 압착, 절단 등의 과정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2. 분리막 제조 설비: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위치하여 전자와 이온의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보통 얇은 플라스틱 시트 형태로 제조되며, 특정한 기계를 통해 제조됩니다.

    3. 조립 설비: 카소드, 아노드, 분리막, 그리고 기타 구성 요소들을 함께 조립하여 전지 셀을 만드는 설비입니다. 이 과정에는 절단, 접착, 적층, 와인딩(권총형 전지의 경우), 용접 등의 과정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4. 전해질 주입 및 포장 설비: 완성된 전지 셀에 전해질을 주입하고, 전지 셀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외부 케이스로 포장하는 설비입니다.

    5. 성능 검사 및 품질 관리 설비: 전지의 성능을 테스트하고 품질을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기계와 장비가 있습니다. 이에는 전압, 용량, 내부 저항 등을 측정하는 장비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6. 자동화 및 제어 시스템: 공장의 작동을 자동화하고 제어하는 시스템입니다. 이에는 로봇, 컨베이어 벨트,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등의 장비와 소프트웨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음.. 우선 내가 공부해야할 것은 공장계의 IoT 이기 때문에,

    '6번 자동화 및 제어 시스템'에는 주로 어떤 회사들의 제품을 많을 쓸까?

     

    너가 '자동화 및 제어 시스템' 으로 자동화 및 제어하는 시스템을 만든다고 했는데,
    해당 분야에 대해서 솔루션을 제공하거나 제품에서 강점을 보이는 회사가 있어?
    자동화 및 제어 시스템은 제조 공장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키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이 분야에서 활동하는 여러 주요 회사들이 있습니다:

    1. Siemens: 독일 기업인 Siemens는 자동화 및 제어 시스템에 관련된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특히 그들의 SIMATIC PLC는 산업 자동화에 널리 사용됩니다. Siemens는 또한 디지털화와 산업용 IoT에 대한 강력한 솔루션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공장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생산 공정을 최적화합니다.

    2. Rockwell Automation: 이 미국 기업은 산업 자동화 및 정보 제품에 대한 광범위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그들의 Allen-Bradley PLC 시리즈는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며, 제조 공정 자동화 및 제어에 대한 포괄적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3. ABB: 스위스-스웨덴 기업인 ABB는 전력, 로보틱스, 및 자동화 기술에 대한 선두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ABB는 자동화 및 제어 시스템, 산업용 로봇, 전력 시스템 등 다양한 제품을 통해 공장 운영을 최적화합니다.

    4. Schneider Electric: 이 프랑스 기업은 에너지 관리 및 자동화에 대한 포괄적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Schneider Electric의 제품 및 서비스 포트폴리오에는 PLC, 공정 제어 시스템, 머신 및 모터 제어, 센서, 소프트웨어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들 회사들은 각자의 고유한 기술 및 제품 라인을 통해 공장의 자동화 및 제어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하며, 그들의 제품은 전세계 수많은 제조 공장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회사들의 제품 및 서비스를 통해 제조 공장은 자동화를 통해 생산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에너지 사용을 최적화하며, 더욱 안정적인 공정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그럼 혹시 비슷한 국내 기업은 없어?
    네, 대한민국에도 산업 자동화 및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여러 기업이 있습니다. 주요 기업으로는 다음과 같은 회사들이 있습니다:

    1. LS산전: LS산전은 전기와 자동화를 포괄하는 광범위한 제품 라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들의 제품은 전력 전송, 전력 배포, 자동화 제어, 그리고 빌딩 관리 시스템 등에 사용되며, 다양한 산업에 적용됩니다.

    2. 현대중공업지주: 현대중공업지주의 전기시스템 사업부는 공장 자동화 시스템, 드라이브, 모터, 전력 변환 장비 등 다양한 제품을 제공합니다. 또한, 로봇 기술 분야에서도 강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3. 삼성SDS: 삼성SDS는 IT 서비스 기업으로, 공장 자동화에 필요한 IoT, 인공지능, 클라우드 등의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공장 운영의 디지털화와 최적화를 돕습니다.

    4.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비영리 정부 연구 기관인 ETRI는 고도의 산업 자동화 및 제어 시스템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우와... 진짜 공장 설비 관련된 기업에 대해서 사실 생각을 해본 적이 아예 없었다는 것을 이제야 깨달았다.

    우선은 앞으로 공장 설비에 내가 원하는 기업의 제품을 어떻게 끼워서 판매할 수 있을지를 다시 고민해봐야겠다 ㅎ_ㅎ

    오늘은 여기까지

     

     

    결론 : 역시 진짜 모르는 것은 모르는지도 모른다.

    '테크 잡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0) 2023.07.06
    개인정보 보호 중심 설계 PbD란?  (0) 2023.07.04
    4  (0) 2023.07.02
    3  (0) 2023.06.28
    미국 1위 통신기업의 생존전략 [AT&T 1편]  (0) 2023.06.26
Designed by Tistory.